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RPC 서비스 확인
·
Infra/리눅스 서버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RPC 서비스 확인 ■ 대상 OS : SunOS, Linux, AIX, HP-UX ■ 취약점 개요 - * RPC(Remote Procedure Call) 서비스는 분산처리 환경에서 개발을 하는 데 있어 많은 이점을 제공하지만, 아래와 같은 서비스들은 버퍼 오버플로우(Buffer Overflow)취약성이 다수 존재하여 root 권한 획득 및 침해사고 발생 위험이 있으므로 서비스를 중지하여야 함. rpc.cmsd, rpc.ttdbserverd, sadmind, rusersd, walld, sprayd, rstatd, rpc.nisd, rexd, rpc.pcnfsd, rpc.statd, rpc.ypupdated, rpc.rquotad, kcms_server, cachefsd * ..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NFS 서비스 비활성화
·
Infra/리눅스 서버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NFS 서비스 비활성화 ■ 대상 OS : SunOS, Linux, AIX, HP-UX ■ 취약점 개요 - *NFS(Network File System) 서비스는 root 권한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등 침해사고 위험성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중지 함 * NFS(Network File System) : 원격 컴퓨터의 파일시스템을 로컬 시스템에 마운트하여 마치 로컬 파일시스템처럼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임 ■ 보안대책 - 양호 : NFS 서비스 관련 데몬이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- 취약 : NFS 서비스 관련 데몬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■ 조치방법 - 사용하지 않는다면 NFS 서비스 중지 - 아래의 방법으로 NFS 서비스를 제거한 후 시스템 부팅 시, 스크립트 실행..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r 계열 서비스 비활성화
·
Infra/리눅스 서버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r 계열 서비스 비활성화 ■ 대상 OS : SunOS, Linux, AIX, HP-UX ■ 취약점 개요 - *'r' command 사용을 통한 원격 접속은 *NET Backup이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나, 보안상 매우 취약하여 서비스 포트가 열려있는 경우 중요 정보 유출 및 시스템 장애 발생 등 침해사고의 위험이 있음 * 'r' command : 인증 없이 관리자의 원격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명령어들로 rsh(remsh), rlogin, rexec 등이 있음 * NET Backup : 이기종 운영체제 간 백업을 지원하는 Symantec 사의 백업 및 복구 툴을 말함 ■ 보안대책 - 양호 : r 계열 서비스가 비활성화 되어 잇는 경우 - 취약 : r 계열 서비스가 활성화 ..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Finger 서비스 비활성화
·
Infra/리눅스 서버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Finger 서비스 비활성화 ■ 대상 OS : SunOS, Linux, AIX, HP-UX ■ 취약점 개요 - * Finger(사용자 정보 확인 서비스)를 통해서 네트워크 외부에서 해당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므로, 사용하지 않는다면 해당 서비스를 중지하여야 함 *Finger(사용자 정보 확인 서비스) : who 명령어가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들에 대한 간단한 정보만을 보여주는 데 반해 finger 명령은 옵션에 따른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다른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보여줌 ■ 보안대책 - 양호 : Finger 서비스가 비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- 취약 : Finger 서비스가 활성화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