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윈도우 보안] 보안 관리 - Dos 공격 방어 레지스트리 설정
■ 대상 OS
- Windows NT, 2000, 2003
■ 취약점 개요
- Dos(서비스 거부 공격)은 네트워크 사용자가 컴퓨터나 컴퓨터의 특정 서비스를 사용 할 수 없도록 만들기 위한 네트워크 공격으로, TCP/IP 스택(Stack)을 강화하는 레지스트리 값 변경을 통하여 Dos 공격을 방어할 수 있음.
- 만약 Dos 방어 레지스트리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Dos 공격에 의한 시스템 다운으로 서비스 제공이 중단될 수 있음.
■ 보안대책
- 양호 : DOS 방어 레지스트리 값이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
- 취약 : DOS 방어 레지스트리 값이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
▶ SynAttackProtect = REG_DWORD 0(False) -> 1 이상
▶ EnableDeadGWDetect = REG_DWORD 1(True) -> 0
▶ KeepAliveTime = REG_DWORD 7,200,000(2시간) -> 300,000(5분)
▶ NoNameReleaseOnDemand = REG_DWORD 0(False) -> 1
■ 조치방법
- 위에 명시된 레지스트리 값을 추가 또는, 변경하여 적용함
■ 보안설정방법
레지스트리 값 이름 |
설 명 |
SynAttackProtect |
SYN-ACK 패킷의 기다리는 시간을 줄여 SYN 공격에 대한 방어 기능을 설정할 수 있음 - 0 => SynAttack 프로텍션을 사용하지 않음 - 1 => 재전송 시도를 줄이고, route 캐쉬 엔트리를 지연시킴 - 2 => 1의 기능 외에도 Winsock에 대한 지시(indication)를 지연시킴 |
EnableDeadGWDetect |
EnableDeadGWDetect를 0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서버가 강제로 원하지 않는 Gateway로 전환될 수 있음 - 0 => (False) 작동하지 않는 Gateway을 검색할 수 없음 - 1 => (True) 작동하지 않는 Gateway을 검색할 수 있음 |
KeepAliveTime |
idle connection을 확인하기 위하여 얼마나 자주 Keep-alive 패킷을 보낼지를 결정하는 값임 - 기본 값 => 7,200,000 (2시간) - 권장 값 => 300,000 (5분) |
NoNameReleaseOnDemand |
컴퓨터가 이름 해제 요청을 받을 때 NetBIOS 이름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설정으로 이 값은 관리자가 악의적인 이름 해제 공격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할 수 있음 - 0 => (False) 해당 기능 사용 안 함 - 1 => (True) 해당 기능 사용 |
◆ Windows NT, 2000, 2003
1. 시작 -> 실행 -> REGEDIT
2. HKLM\System\CurrentControlSet\Service\Tcpip\Parameters\ 검색
3. 다음의 DOS 방어 레지스트리 값 추가 또는 변경
레지스트리 값 이름 |
값 종류 |
유효 범위 |
권장 설정 값 |
SynAttackProtect |
REG_DWORD |
0, 1, 2 |
1 또는 2 |
EnableDeadGWDetect |
REG_DWORD |
0, 1 (False, True) |
0 (False) |
KeepAliveTime |
REG_DWORD |
1 - 0xFFFFFFFF |
300,000(5분)으로 변경 |
NoNameReleaseOnDemand |
REG_DWORD |
0, 1 (False, True) |
1 (True) |
■ 조치 시 영향
- 잘못된 값을 설정할 경우 OS 재설치를 요구할 수 있음
※ 문의 사항은 메일 : jyuhm@sntkor.com 이나 070-8611-4853
'Infra > 윈도우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윈도우 보안] 보안 관리 - 세션 연결을 중단하기 전에 필요한 유휴시간 (0) | 2018.12.28 |
---|---|
[윈도우 보안] 보안 관리 - 사용자가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없게 함 (0) | 2018.12.28 |
[윈도우 보안] 보안 관리 - 디스크볼륨 암호화 설정 (0) | 2018.09.28 |
[윈도우 보안] 보안 관리 - 이동식 미디어 포멧 및 꺼내기 허용 (0) | 2018.09.28 |
[윈도우 보안] 보안 관리 - Auto logon 기능 제어 (0) | 2018.08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