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로그온 시 경고 메시지 설정
■ 대상 OS : SunOS, Linux, AIX, HP-UX
■ 취약점 개요
- 로그인 배너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 배너에 서버 OS 버전 및 서비스 버전이 공격자에게 노출될 수 있으며 공격자는 이러한 정보를 통하여 해당 OS 및 서비스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을 시도할 수 있음
■ 보안대책
- 양호 : 서버 및 Telnet 서비스에 로그온 메시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
- 취약 : 서버 및 Telnet 서비스에 로그온 메시지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
■ 보안설정 방법
◆ OS별 점검 파일 위치 및 점검 방법
- SunOS, Linux, AIX, HP-UX
#vi /etc/motd
서버 로그온 메시지 설정 여부 확인
※ 위에 제시한 파일 내에 로그온 메시지 설정이 적용되지 않은 경우 아래의 보안설정 방법에 따라 로그온 메시지를 입력함
◆ OS별 점검 파일 위치 및 점검 방법
- SunOS
#vi /etc/default/telnetd
BANNER="\\r\\n\\r\\n 'uname -a' 'uname -r' \\r\\n\\r\\n"
- Linux
#vi /etc/issue.net
CentOS release 5.3 (Final) Kernel \r on an \m
- AIX
#vi /etc/security/login.cfg
default: 설정 없음
- HP-UX
#vi /etc/inetd.conf
telnet stream tcp nowait root /usr/lbin/telnetd telnetd
※ 위에 제시한 파일 내 Telnet 배너 설정이 위와 같을 경우 아래의 보안설정 방법에 따라 설정을 변경
■ SunOS
1. 서버 로그온 메시지 설정 : vi 편집기로 "/etc/motd" 파일을 연 후 로그온 메시지 입력
#vi /etc/motd
(수정 전) 내용 없음
(수정 후) 로그온 메시지 입력
2. Telnet 배너 설정 : vi 편집기로 "/etc/default/telnetd" 파일을 연 후 로그온 메시지 입력
#vi /etc/default/telnetd
(수정 전) BANNER="\\r\\n\\r\\n 'uname -a' 'uname -r' \\r\\n\\r\\n"
(수정 후) BANNER="로그온 메시지 입력"
■ Linux
1. 서버 로그온 메시지 설정 : vi 편집기로 "/etc/motd" 파일을 연 후 로그온 메시지 입력
#vi /etc/motd
(수정 전) 내용 없음
(수정 후) 로그온 메시지 입력
2. Telnet 배너 설정 : vi 편집기로 "/etc/issue.net" 파일을 연 후 로그온 메시지 입력
#vi /etc/issue.net
(수정 전) CentOS release 5.3 (Final) Kernel \r on an \m
(수전 후) 로그온 메시지 입력
■ AIX
1. 서버 로그온 메시지 설정 : vi 편집기로 "/etc/motd" 파일을 연 후 로그온 메시지 입력
#vi /etc/motd
(수정 전) 내용 없음
(수정 후) 로그온 메시지 입력
2. Telnet 배너 설정 : vi 편집기로 "/etc/security/login.cfg" 파일을 연 후 로그온 메시지 입력
#vi /etc/security/login.cfg
(수정 전) default: 설정 부분에 herald 설정 없음
(수정 후) default: 설정 부분에 herald="로그온 메시지" 설정 추가
■ HP-UX
1. 서버 로그온 메시지 설정 : vi 편집기로 "/etc/motd" 파일을 연 후 로그온 메시지 입력
#vi /etc/motd
(수정 전) 내용 없음
(수정 후) 로그온 메시지 입력
2. Telnet 배너 설정 : vi 편집기로 "/etc/inetd.conf" 파일을 연 후 telnet 부분에 로그인 파일 설정
#vi /etc/inetd.conf
(수정 전) telnet stream tcp nowait root /usr/lbin/telnetd telnetd
(수정 후) telnet stream tcp nowait root /usr/lbin/telnetd telnetd -b /etc/issue
※ 문의 사항은 메일 : jyuhm@sntkor.com 이나 070-8611-4853
'Infra > 리눅스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expn, vrfy 명령어 제한 (1) | 2017.04.17 |
---|---|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NFS 설정파일 접근권한 (0) | 2017.04.15 |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SNMP 서비스 Sommunity String의 복잡성 설정 (0) | 2017.04.10 |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SNMP 서비스 구동 점검 (0) | 2017.04.03 |
[리눅스 보안] 서버 관리 - at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(0) | 2017.03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