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리눅스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관리자 그룹에 최소한의 계정 포함
■ 대상 OS : SunOS, Linux, AIX, HP-UX
■ 취약점 개요
- 시스템을 관리하는 root 계정이 속한 그룹은 시스템 운영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최소한의 계정만 등록되어 있어야 함.
- 해당 그룹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허가되지 않은 일반 사용자가 관리자의 권한으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으며, 파일 수정 및 변경 등의 악의적인 작업으로 인해 시스템 운영에 피해를 줄 수 있음.
■ 보안 대책
- 양호 : 관리자 그룹에 불필요한 계정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
- 취약 : 관리자 그룹에 불필요한 계정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
■ 조치방법
- 현재 등록된 계정 현황 확인 후 불필요한 계정 삭제
■ 보안설정 방법
◆ OS별 점검 파일 위치 및 점검 방법
- SunOS, Linux, HP-UX
#cat /etc/group (※ "group" 파일구조 참조)
- AIX
#cat /etc/group
system:!:0:root
※ 불필요한 계정이 관리자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아래의 보안설정 방법에 따라 설정
■ SunOS, Linux, HP-UX
ⅰ.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"/etc/group" 파일을 연 후
ⅱ. root 그룹에 등록된 불필요한 계정 삭제
(예 root 그룹에 등록된 불필요한 test 계정 삭제)
(수정 전) root:x:0:root,test
(수정 후) root:x:0:root
■ AIX
ⅰ.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"/etc/group" 파일을 연 후
ⅱ. system 그룹에 등록된 불필요한 계정 삭제
(예 system 그룹에 등록된 불필요한 test 계정 삭제
(수정 전) system:!:0:root,test
(수정 후) system:!:0:root
※ 문의 사항은 메일 : jyuhm@sntkor.com 이나 070-8611-4853
'Infra > 리눅스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동일한 UID 금지 (0) | 2016.12.22 |
---|---|
[리눅스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GID 금지 (0) | 2016.12.19 |
[리눅스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불필요한 계정 제거 (0) | 2016.12.14 |
[Linux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패스워드 최소 사용기간 설정 (0) | 2016.11.26 |
[Linux 보안] 리눅스 계정 관리 - 패스워드 최대 사용기간 설정 (0) | 2016.1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