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리눅스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Session Timeout 설정
■ 대상 OS : SunOS, Linux, AIX, HP-UX
■ 취약점 개요
- 계정이 접속된 상태로 방치될 경우 권한이 없는 사용자에게 중요시스템이 노출되어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 이후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연결을 종료하는 Session Timeout 설정이 필요함
■ 보안 대책
- 양호 : Session Timeout이 600초(10분)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
- 취약 : Session Timeout이 600초(10분) 이하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
■ 조치방법
- 600초(10분) 동안 입력이 없을 경우 접속된 Session을 끊도록 설정
■ 보안설정 방법
◆ OS별 점검 파일 위치 및 점검 방법
- SunOS
#cat /etc/default/login
TIMEOUT=600
export TMOUT
- Linux, AIX, HP-UX
<sh, ksh, bash 사용 시>
#cat /etc/profile(.profile)
TIMEOUT=600
export TMOUT
<csh 사용 시>
#cat /etc/csh.login 또는, #cat /etc/csh.cshrc
set autologout=10
※ 위에 제시한 설정이 해당 파일에 적용되지 않은 경우 아래의 보안설정 방법에 따라 설정을 변경
■ SunOS
1.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"/etc/default/login" 파일을 연 후
2. 아래와 같이 수정 또는 신규 삽입
TIMEOUT=600 (단위 : 초)
export TMOUT
■ Linux, AIX, HP-UX
- sh(born shell), ksh(korn shell), bash(born again shell)을 사용하는 경우
1.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"/etc/profile(.profile)" 파일을 연 후
2. 아래와 같이 수정 또는, 추가
TIMEOUT=600 (단위 : 초)
export TMOUT
- csh 를 사용하는 경우
1.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"/etc/csh.login" 또는, "/etc/csh.cshrc" 파일을 연 후
2. 아래와 같이 수정 또는, 추가
set autologout=10 (단위 : 분)
■ 조치 시 영향
- 모니터링 용도로 사용할 경우 해당 계정의 환경변수 파일에만 예외적으로 600초 이상의 시간 입력
(예 : root 로 모니터링 할 경우 /.profile, /.bash_profile 등에 600초 이상 입력
※ 문의 사항은 메일 : jyuhm@sntkor.com 이나 070-8611-4853
'Infra > 리눅스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 보안]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- 파일 및 디렉토리 소유자 설정 (0) | 2016.12.28 |
---|---|
[리눅스 보안]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- root 홈, 패스 디렉토리 권한 및 패스 설정 (0) | 2016.12.26 |
[리눅스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사용자 Shell 점검 (0) | 2016.12.23 |
[리눅스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동일한 UID 금지 (0) | 2016.12.22 |
[리눅스 보안] 리눅스 계정관리 -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GID 금지 (0) | 2016.12.19 |